NO. | 날짜 | 제목 | |
---|---|---|---|
58 |
2017.08.24
2010 재난관리지도자 취득
|
2017.08.24
|
열기/닫기 |
2010 재난관리지도자 취득 재학생 5 명은 소방방재청 산하 한국비시피협회에서 주관하는 재난관리사 자격증을 취득하였다. 전세계적으로 태풍, 해일, 대형 지진 등 대형재난재해가 빈번해지고 있고 대형재난재해 대응체계 구축은 국가적 관심사로 대두되고 있다. 이미 대부분의 보건의료 분야 종사자들도 재난관련 전문가 양성 및 교육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시점에서 본교 재학생의 재난관리사 자격 취득은 그 의의가 크다 하겠다. |
|||
57 |
2017.08.24
2010 First Responder 교육프로그램인 ‘응급처치원’ 자격증 취득
|
2010 First Responder 교육프로그램인 ‘응급처치원’ 자격증 취득
2017.08.24
|
열기/닫기 |
2010 First Responder 교육프로그램인 ‘응급처치원’ 자격증 취득 본교 재학생 10명은 대한응급구조사협회에서 주관하고 미국국립안전위원회에서 개발한 교육프로그램을 이수하고 이론과 실기시험을 합격하여 응급처치원 자격증을 취득하였다. 기본인명구조술, 외과적 응급구조술, 내과적 응급구조술, 환경적 응급구조술 및 사고 및 급성질환자에게 사고현장에서부터 손상방지 및 장애예방을 위한 전문적 응급처치에 대한 교육이 이루어지고 엄격한 테스트에 합격하여야 취득가능 한 자격증으로, 이번 교육은 현장에서 활동 중인 선배 응급구조사와 응급간호사와 함께 한 소중한 경험이 되었고 대한응급구조사협회와 대한응급간호협회에 본교 응급구조과 재학생의 성실함과 우수성을 알리게 된 기회가 되었다. |
|||
56 |
2017.08.24
2010 Basic Life Supprot(BLS) Provider 자격증 취득
|
2010 Basic Life Supprot(BLS) Provider 자격증 취득
2017.08.24
|
열기/닫기 |
2010 Basic Life Supprot(BLS) Provider 자격증 취득 미국심장협회(AHA)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으로 엄격한 교육과정, 심폐소생술 실기시험, 이론시험을 거쳐 취득 가능한 자격증으로 전문기도관리, 심장소생술, 전문심장소생술, 제세동기사용법, 소아 및 영아 심폐소생술 등의 교육과 실기이론 테스트에 합격한 본교 응급구조과 재학생 2명이 자격증을 취득하였다. 응급의학의사, 응급의학수련의사, 응급실간호사 등과 함께 진행된 자격증과정에서 응급구조과 학생이 BLS-provider 를 취득한 것은 큰 성과이며 향후 학과교과과정에 BLS provider 자격취득과정을 개설할 예정이다. |
|||
55 |
2017.08.24
2010 국가고시대비, 자격증 취득 프로그램 및 학습관 운영
|
2010 국가고시대비, 자격증 취득 프로그램 및 학습관 운영
2017.08.24
|
열기/닫기 |
2010 국가고시대비, 자격증 취득 프로그램 및 학습관 운영 작년에 이어 올해에도 응급구조사 국가시험 대비 학습반을 편성하여 국가 시험 모의고사 시행횟수를 증가시키고, 시험 대비 보충학습 및 자율학습을 진행하고 있다. 그 결과 미국심장협회에서 발행하는 Basic Life Support (BLS)자격증을 재학생 전원이 취득하였고, Emergency First Responder 국제자격증을 24명의 학생이 취득하였으며, 미국국립안전위원회 응급처치원 자격을 10명의 학생이, 소방방재청의 재난관리사 자격을 5명의 학생이 취득하는 성과를 보였다. 2학기부터는 국가고시 이론, 실기, 문제풀이를 단계별 반복학습으로 더욱 심화시킬 수 있다. |
|||
54 |
2017.08.24
2010 국제 초기응급처치 자격증 24명 취득
|
2017.08.24
|
열기/닫기 |
2010 국제 초기응급처치 자격증 24명 취득 6월 3일 Emergency First Response TM DIVE 주관하는 국제 초기응급처치 국제 자격증(Emergency First response)에 2학년 강지혜외 11명과 3학년 강진선외 10명, 총24명이 참여하여 모두 자격증을 취득하였다. 국제 초기응급처치 자격증은 세계적으로 183개가 넘는 국가들에서 시행되어 약 31,000명이 취득한 자격증으로 응급현장에서 초기응급처치와 자동심장제세동기를 사용하여 인명을 구조하는 역할을 하며 국제 공통적으로 인정된다. |
|||
53 |
2017.08.24
2010 응급구조사1급 졸업예정자 전원 100% 합격
|
2017.08.24
|
열기/닫기 |
2010 응급구조사1급 졸업예정자 전원 100% 합격 제16회 응급구조사 1급 국가고시에서 졸업예정자 전원 10명(응급구조과) 이 합격하는 쾌거를 이루었다. 2010년 12월 5일 치러진 시험에는 전국에서 1012명이 응시했으며, 현재 서정대학 응급구조과에 3학년에 재학중인 강진선, 김경희, 김해나, 노진, 백세롬, 성지선, 양주경, 오경희, 유혜정, 전슬지 등 10명 전원이 100% 합격하는 영광을 차지하였다. 서정대학 응급구조과는 2011년 첫 해 졸업생을 배출하는 신설과지만 학생들이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다양한 경험과 지식을 넓혀갈 수 있도록 한양대학교 구리병원, 순천향 부천병원, 충남대학병원, 을지대학병원, 동국대학교 일산병원, 양주예스병원등과 산학협력 체결을 통해 체계적이고 내실 있는 교육과 더불어 학습관 운영을 통해 맞춤형 국가고시 특별 프로그램을 운영한 것이 이번 시험에서 전원 합격의 영광으로 이어졌다고 볼 수 있다. |
|||
52 |
2017.08.24
2011 2010-2011 2년 연속 1급 응급구조사 국가고시 100% 합격
|
2011 2010-2011 2년 연속 1급 응급구조사 국가고시 100% 합격
2017.08.24
|
열기/닫기 |
2011 2010-2011 2년 연속 1급 응급구조사 국가고시 100% 합격 2011년 12월 4일에 실시된 제17회 1급 응급구조사 국가고시에서 응시자 11명 전원이 합격하여 지난해에 이어 2회 연속 100% 합격을 이루었다. 우리대학 응급구조과는 2011년 1회 졸업생 전원이 1급 응급구조사 국가고시에 합격했으며 현재 전원 취업한 상태이다. 이와 같이 2년 연속으로 이어지는 교육의 성과는 체계적이고 내실 있는 교육과정과 현장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경험과 지식을 넓이기 위한 소방 및 병원실습 뿐 만 아니라 학습관 운영을 통한 맞춤형 국가고시 특별 프로그램이 전원 합격의 영광으로 이어졌다고 볼 수 있다. 한편, 2011년 1급 응급구조사 국가고시의 전국 합격률은 86.5%였다. |
|||
51 |
2017.08.24
2012 응급처치강사 등 다수 자격증 취득
|
2017.08.24
|
열기/닫기 |
2012 응급처치강사 등 다수 자격증 취득 lifesaving Instructor 14명, 응급처치원 67명, 응급처치강사 20명 등 다수가 전공관련 자격증을 취득하였고 방학 중에는 26명의 학우들이 소방방재청에서 주관하는 <재난현장 살아남기> 과정을 수료하는 등 전문성을 높이기 위한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다. 재난현장> |
|||
50 |
2017.08.24
2012 3학년 박민지 학생 Heart Saver Badge 수여대상자 선정
|
2012 3학년 박민지 학생 Heart Saver Badge 수여대상자 선정
2017.08.24
|
열기/닫기 |
2012 3학년 박민지 학생 Heart Saver Badge 수여대상자 선정 2012년 6월 25일부터 7월 22일까지 구급차 동승실습에 참여하였다. 위 실습에 참여한 응급구조과 3학년 박민지 학생은 실습 중 서울시 강북구 미야2동 두산아파트 내에서 발생한 50대 심정지 환자를 발견하여 강북소방서 구급대원과 함께 전문 심폐소생술을 시행하여 환자를 소생시켰다. 소방방재청에서는 심정지 환자를 소생시키는 구급대원들에게 Heart Saver Badge를 수여하는데, 실습에 참여한 박민지 학생도 그 공로를 인정받아 동등하게 Heart Saver Badge를 받게 되었다. |
|||
49 |
2017.08.24
2012 31명 BLS-provider 자격증 취득
|
2017.08.24
|
열기/닫기 |
2012 31명 BLS-provider 자격증 취득 구슬아 학우 외 31명은 미국 심장협회에서 주최하는 BLS-provider 자격증을 취득하였다. 본 자격증은 다양한 생활위협 등 긴급한 상황에서 활용되는 심폐소생술의 시술과 AED 등의 사용방법을 배우고 시험하는 과정이며 응급상황에 최초 처치로서 생명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가를 판단하는 기능을 한다. |
홈페이지 이용과 관련하여 불편사항 및 건의사항, 보완사항 등의 요청이 있을 경우 아래 이메일 주소로 내용을 기재하여 보내주시면 적극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E-mail : webmaster@seojeong.ac.kr